회원 정보팀

우진비엔지 (018620) - 코로나바이러스가 13개, 충북과 경북, 광주 박쥐 돼지 길고양이 감염병위험

2020.02.07 09:05

※이 정보는 고수의 추천주식에서 생산한 것이 아닌 외부에서 얻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이며, 투자판단의 최종책임은 본 정보를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우진비엔지 (018620) - 코로나바이러스가 13개, 충북과 경북, 광주 박쥐 돼지 길고양이 감염병위험



코로나바이러스가 13개, 충북과 경북, 광주 박쥐 돼지 길고양이 감염병위험


6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이 지난해 5월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국내 야생박쥐 코로나바이러스 감시 현황 및 결과’를 보면 국내에도 인수공통전염병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야생박쥐의 사체와 배설물, 구강 내 샘플 등을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는 샘플 189개 중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바이러스와 유사한 코로나바이러스가 13개, 충북과 경북, 광주에서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바이러스와 유사한 코로나바이러스가 각각 1개씩 검출됐다.

종별로는 관박쥐에서 양성으로 나타난 개체가 13마리로 가장 많았다. 문둥이박쥐, 집박쥐, 안주애기박쥐 등에서도 1마리씩 양성을 보였다. 국내 박쥐에서 검출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인체 감염 가능성은 희박했다. 다만 바이러스는 언제든 변이가 일어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국 역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발생에 있어 안심할 수 없고 야생박쥐에 대한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에 존재하는 인수공통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는 박쥐만이 아니다. 흔히 살인진드기로 알려진 참진드기 매개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이미 국내에서도 매년 여러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감염병이다. 채준석 서울대 수의대 교수가 지난해 발표한 ‘국내 동물의 SFTS 바이러스 검출 현황’에 따르면 멧돼지, 고라니, 길고양이, 군견, 재래식 농장의 돼지, 소, 흑염소 등 다양한 동물에서 이 바이러스의 항원이 검출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2&aid=0002990348&sid1=001

http://www.paxnet.co.kr/tbbs/view?id=N00820&seq=150357582985047




0
0
0
투표를 통해 글쓴이의 랭킹이 변동됩니다.
신중한 투표를 부탁드립니다.
  • 댓글
  • 조회수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