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정보팀

팬젠(222110) -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감염병(SFTS) 치료용 항체 개발 착수

2020.01.10 13:15

※이 정보는 고수의 추천주식에서 생산한 것이 아닌 외부에서 얻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이며, 투자판단의 최종책임은 본 정보를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팬젠(222110) -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감염병(SFTS) 치료용 항체 개발 착수



[단독 제보] 크네요 - 증시뉴스 나오면 한상개엽성 유력시

팬젠,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감염병(SFTS) 치료용 항체 개발 착수 - 1보

▶ 중국 바이오 기업 '와이클론'사 보유 항체기술도입
▶ 양사 간 기술경쟁력 교류를 통해 3년 내 제품 상용화 목표


[2020-01-10]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팬젠(대표이사 윤재승, 김영부)이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감염병 치료용 항체 개발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팬젠은 중국 와이클론 메디칼 사이언스가 보유한 특허기술을 도입해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 치료용 항체의약품을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팬젠과 계약을 체결한 와이클론은 중국 쑤저우 소재의 벤처기업으로 고유한 항체 디자인 방법인 나노바디(nano body)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다. 나노바디 항체는 일반 항체에 비해 안정성과 항원친화도가 높고 면역 원성이 낮은 장점이 특징이다.

팬젠 관계자는 “와이클론사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발견되는 모든 SFTS 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는 특정 항체 후보를 확보했을 뿐 아니라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효력시험용 동물모델도 보유하고 있어 제품 개발에 매우 유리한 회사”이라고 말했다.


팬젠은 항체 의약품의 생산 공정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 등 핵심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SFTS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실제로, 살인진드기병으로 알려진 SFTS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진드기에 물려 발병하는 치사율이 높은 3급 법정감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팬젠 관계자는 “3급 법정감염병의 경우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하는 등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물 간 또는 사람 간의 2차 감염의 사례도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백신이나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0
0
0
투표를 통해 글쓴이의 랭킹이 변동됩니다.
신중한 투표를 부탁드립니다.
  • 댓글
  • 조회수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