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정보팀

옵트론텍 (082210) - 꿈의 치료제 '전자약' 개발, 국가 전략 마련 착수

2019.11.29 09:01

※이 정보는 고수의 추천주식에서 생산한 것이 아닌 외부에서 얻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이며, 투자판단의 최종책임은 본 정보를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옵트론텍 (082210) - 꿈의 치료제 '전자약' 개발, 국가 전략 마련 착수



[단독 잠시후 신테마 유력]
정부 252억달러 시장, 꿈의 치료제 '전자약' 개발, 국가 전략 마련 착수 -1보
기사안에 전자약 리메드 (옵트론텍 투자사, 상장사 유일 유력)

국내유일 전자약 업체 유력, 리메드 지분 투자사/ 상장 임박
옵트론텍 지분보유 , 리메드 전자약 솔루션 이미지

<리메드 ,옵트론텍이 주요주주) 전자약 솔루션 이미지>



정부가 '꿈의 치료제'로 불리는 전자약 기술 확보를 위해 중장기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초기단계 전자약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전략적으로 육성 분야를 선정하되 '정부-병원-기업'간 유기적 협업 모델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8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전자약 산업육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 중이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까지 구체적인 로드맵을 도출한 뒤 2021년부터 정부 예산을 투입해 본격적인 육성 사업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전자약은 인체에 주입한 일종의 의료기기로, 전기적 신호로 문제가 있는 신경을 치료한다. 치료가 필요한 특정 세포나 신경만 자극해 기존 합성 의약품이나 수술이 야기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꿈의 치료제'로 불린다.

보건산업진흥원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앞다퉈 전자약 기술 확보에 나서면서 우리나라도 대응 차원에서 중장기 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우선 글로벌 전자약 개발 트렌드와 국내 수준을 분석한 뒤 전자약 전략품목을 도출한다. 국내 기술 경쟁력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를 선정, 기술 확보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단기적으로는 이르면 2021년 실행 가능한 연구개발(R&D) 과제 도출부터 장기적으로는 대규모 예산을 투입한 기술개발 사업, 제도 정비 등을 포괄하는 전략을 내놓는다.

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전자약이 주목 받지만 국내에서는 전문적인 R&D 사업이 없었다”면서 “그동안 우리나라 의료기기는 세계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는데, 이번에 중장기 전략을 수립해 성공사례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세계 전자약 시장은 2016년 기준 172억달러(약 20조2168억원)에서 2021년 252억달러(약 29조62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울증, 치매 등을 포함해 신경 복구 등 난치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쏟아진다


http://www.etnews.com/20191128000186
0
0
0
투표를 통해 글쓴이의 랭킹이 변동됩니다.
신중한 투표를 부탁드립니다.
  • 댓글
  • 조회수 621